Surprise Me!

[여랑야랑]대통령 격노가 죄? / 한동훈 근황 사진 비하인드 / ‘군대 가면 사람된다?’ 조국의 반박

2024-05-27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<p>[앵커]<br>Q. 윤수민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[첫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윤석열 대통령 보이는데요. 채 상병 사망사건 관련해서 의혹이 나온 격노설 얘기인가봐요?<br> <br>네, 격노가 죄인지를 두고 여야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데요. <br> <br>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과정에 대통령이 격노한게 수사에 영향을 미쳤느냐가 핵심입니다. <br> <br>민주당, 격노 자체가 죄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[박찬대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오늘)] <br>"대통령의 격노 때문에 이 모든 문제가 불거진 것 아닙니까."<br> <br>[고민정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)] <br>"대통령이 크게 화를 냈다는 사실만으로도 일선부처에는 엄청난 압박이 되었을 것입니다. 격노와 관련된 구체적 지시가 뒤따랐다면 명백히 직권남용죄를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."<br><br>Q. 격노한 것 자체가 외압이다 이런거군요. 국민의힘은요?<br> <br>격노했다고 죄는 아니라는 입장입니다. <br><br>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, "격노한 게 죄인가. 군통수권자로서 당연히 할 수 있는 이야기" 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또 대통령의 격노가 본질이 아니라는 반박도 나왔습니다. <br><br>[김근식 / 국민의힘 전 비전전략실장 (오늘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 <br>"애꿎은 우리 젊은 장병의 죽음이 아니라 그 죽음 이후에 수사 과정의 수사 보고서… 본질이 아닌 곁가지를 일부러 침소봉대해서" <br><br>Q. 여야 의견이 완전히 다른데 그래서 죄에요 아니에요?<br> <br>일단 법조계에선 대통령 격노를 확인하더라도, 그것만으로는 직권남용죄 적용은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한데요. <br><br>격노한 뒤에 구체적인 지시를 했는지 여부가 확인되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Q. [두 번째 주제] 보겠습니다. 이달 초 화제가 됐던 한동훈 전 위원장의 사진이네요. 이 사진 비하인드가 있어요?<br> <br>네, 화면에 보이는 사람, 고동진 국민의힘 당선인인데요. <br> <br>이 사진을 찍은 사람이 고 당선인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<br>잠행 중이던 한 전 위원장, 자택 근처의 한 식당에서 포착되며 화제가 됐죠. <br><br>Q. 이 자리에 고 당선인도 같이 있었어요? <br><br>네 고 당선인, 한 전 위원장이 영입한 인물이죠. <br> <br>선거 이후인 5월초 만났다고 하는데요. <br><br>마침 한 전 위원장, 고 당선인이 당선된 강남병의 지역주민이기도 하죠.<br> <br>음식점 사장님의 부탁을 받아 고 당선인이 사진을 찍게 되었다고 합니다. <br><br>그땐 이런 대화를 나눴다고 하네요. <br><br>[고동진 / 국민의힘 서울 강남병 당선인 (오늘, 채널A 라디오쇼 ‘정치시그널’)] <br>"얼마 전까지만 해도 잠시 쉬어야 하는 시간이었고, 같이 식사를 한번 했어요. 당분간 휴식을 취하는 게 좋지 않냐. 그런 이야기를 나눴습니다."<br><br>5월 초에 만났을때만 해도 쉬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었지만, 최근에는 생각이 조금 바뀐 것 같습니다.<br><br>[고동진 / 국민의힘 서울 강남병 당선인 (오늘, 채널A 라디오쇼 ‘정치시그널’)] <br>"100일 했어요, 100일. 석 달 열흘을 한 사람한테 이게 ‘당신 책임이고 이걸 뒤집어쓰고 나오면 안 돼’라고 내부에서 이렇게 얘기가 나오는 건 저는 조금 지나치지 않은가."<br><br>Q. 전당대회 출마에 긍정적으로 바뀌었네요?<br> <br>초반엔 책임론이 우세했지만, 당내 기류가 조금씩 바뀌고 있죠. <br><br>[김재섭 / 국민의힘 서울 도봉갑 당선인 (오늘 JTBC 유튜브 '장르만 여의도')] <br>"출마를 못할 건 아닌 것 같은 게 민주당에서 이재명 대표는 대선 참패의 가장 큰 원흉 그 자체잖아요. 바로 당대표 하시잖아요."<br><br>최근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여론 조사에서도, 한 전 위원장이 1위로 크게 앞서있죠. <br><br>당내에서도 여론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Q. [주제 하나 더] 보겠습니다. 조국 대표 보이는데요. 군대 가야 사람 된다? 어른들이 종종 하던 말 같은데요, 이게 무슨 얘기인가요? <br><br>조국 대표, ‘군대 가야 사람된다’는 말이 전근대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얼차려 받다 사망한 훈련병을 거론하며, 이런 방식이 시대에 맞는지 의문스럽다고 비판한 겁니다. <br><br>Q. 최근 계속 군부대 관련 사고가 있었죠. 그걸 겨냥한 건가봐요.<br> <br>이 발언을 두고 남성 위주 커뮤니티에선 조국 대표의 군복무 이력도 재조명 하고 있는데요. <br><br>조 대표, 학사장교 제도로 6개월만 복무했습니다. <br><br>이를 두고 “6개월 복무하고 그런말 할 자격이 있냐”, "또 특검할거냐" 이런 비판과 “시대에 맞는 말 한다”는 옹호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Q. 또 논쟁으로 번졌네요. 군 복무는 예민한 문제이긴 해요.<br> <br>정치권에선 조 대표가 국가 안보에 대해 늘 쓸모가 없다는 식으로 말한다는 질타도 나왔는데요. <br><br>전여옥 전 의원, "군대와 안보는 조 대표의 먹잇감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군 부대 사고 때마다 소모적인 논쟁 반복하기보다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. (근본부터) <br><br>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윤수민 기자·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서의선</p>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